오늘은 튜터님에게 본격적으로 python에 대해 배우기 전에, 먼저 python 언어에 대해 짚고 넘어가는 시간을 가졌다.
먼저 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파일러 언어, 인터프리터 언어로 나뉜다.
컴파일러 언어는 사람이 작성한 언어를 컴파일러가 처리하여 컴퓨터가 읽을수 있게 하는 언어이고 대표적으로 C, C++이 있다.
인터프리터 언어는 인터프리터가 컴파일을 처리하고 컴파일러와 다른 점은, 코드를 한 줄 씩 해석하고 실행한다는 점이고 대표적으로는 python,Ruby,JavaScript,SQL 등이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 중 70%는 인터프리터 언어)
인터프리터 언어의 장점은 프로그램 수정이 간단하다는 것이고 단점에는 실행 속도가 느리다는 점이 대표적이다.
오늘 튜터님에게 배운 점중 가장 흥미로운 것은, 프로그래밍 언어마다 각 언어에 맞는 코드 컨벤션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지금 배우고 있는 파이썬을 예로 들자면, 변수/함수를 네이밍할 때는 Snake 표기법을, Class를 네이밍 할 때는 Pascal 표기법을 사용한다.
- Pascal : PythonIsVeryGood / 각 단어를 대문자로 구별합니다.
- Camel : pythonIsVeryGood / Pascal과 동일하지만, 첫 문자가 소문자로 시작합니다. 모양이 쌍봉낙타와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입니다.
- Snake : python_is_very_good / 각 단어를 언더바(_)로 구분합니다. 모양이 뱀과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입니다.
파이썬의 자료형에는 interger, float, string, list, tuple, set, dict, boolean 이 있다.
변수의 유효 범위에는 대게 지역변수, 전역변수로 나뉘어 지고 지역 변수는 변수가 선언된 함수 내에서만 적용되는 변수,
전역 변수는 그 코드 전체에 적용되는 변수를 뜻하고 전역 변수는 너무 남용하면 안된다.
나는 개인적으로 무슨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던 그 언어의 기초 상식과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고 넘어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시작이 반이다 라는 말이 있듯이, 무슨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던 기초가 중요하다는 것을 배운 하루였다.
'TTL > 1주차 ~ 4주차 TIL (8.29 ~ 9.23)'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2-09-07 TIL (1) | 2022.09.07 |
|---|---|
| 2022-09-06 TIL (0) | 2022.09.06 |
| 2022-09-02 TIL (0) | 2022.09.04 |
| 2022-09-01 TIL (0) | 2022.09.02 |
| 2022-08-31 TIL (0) | 2022.09.01 |